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조건

 

회사를 다니다보면 마음에 들어서 쭉 다니는 경우도 있겠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회사를 나오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물론 안정적인 측면만 본다면 모든 걸 꾹참고 다녀야 하겠지만 모든 것이 내 맘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게 100%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아무튼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내 스스로 회사를 나온 게 아니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데요. 하지만 이 역시 무조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실업급여 조건을 잘 따져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실업급여 조건

 

1.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는 1996년부터 실시가 되었는데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고 주로 신청하는 것은 구직급여라고 불리는 것인데요. 그러므로 실업급여도 맞는 말이지만 정확히는 구직급여라는 표현이 더 적절한 것이죠.

 

 

 

실업급여 조건

다른 실업급여로는 상병급여, 훈련연장급여, 개별 연장급여, 특별연장급여, 취업촉진수당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실업급여라고 한다면 구직급여를 의미하기 때문에 그냥 용어는 그대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1). 비자발적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조건의 첫 번째는 비자발적이어야 합니다. , 내가 스스로 회사를 퇴사할 경우 해당이 되지 않는데요. 만약 자발적으로 퇴사를 했거나, 중대한 귀책사유로 해고가 될 경우에는 받을 수가 없습니다.

 

 

(2). 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조건의 두 번째는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에서 근무를 해야 하는데요. 고용보험이 적용되는 사업장에서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근무를 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서 4대보험이 적용되는 곳에서 6개월 이상 근무를 해야 합니다.

만약 고용보험이 적용되어야 하는 사업장인데, 사업주가 가입을 하지 않았어도 근로자가 신청할 수가 있습니다. 이때는 3년 이내의 근무 기간에 대해서는 피보험자격을 취득할 수가 있습니다.

 

 

(3). 구직활동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조건의 세 번째는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액션입니다. 만약에 실직한 상태에서 구직활동 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실업급여 조건에 해당되지가 않습니다.

 

 

 

실업급여 조건

증명하는 방법은 노동부에서 주는 서류가 있습니다. 이것을 면접 보러 갔을 때 면접관에게 보여주고 작성해 달라고 한 다음 나중에 제출하는 것이죠. 작성도 1분이면 끝나는 거라서 시간이 오래 걸리지도 않습니다.

 

 

 

실업급여 조건

간혹 전화로만 문의를 하거나, 모집요강등을 출력하여 증명하려고 하지만 그런 거는 인정이 되지 않습니다. 구직활동에 대한 증명은 방금 위에 설명한 것 외에도 몇 가지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알아둘 필요성이 있습니다.

 

2. 실업급여 신청방법

실업급여 조건

이렇게 실업급여 조건에 해당이 된다면 신청을 해야 하는데요. 간단하게 워크넷을 통해 할 수도 있으며, 온라인이 어려운 분들은 직접 고용센터에 방문해서 자격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실업급여 조건

행여 실업급여 신청불가라고 해도 재심사 청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바로 낙담할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지급이 완료 되고나서도 취업을 하지 못했다면 구직급여 연장을 통해 더 받을 수는 있습니다.

 

3. 지급액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지급액은 퇴직 전 평균 임금의 60%에 소정급여일수를 곱하게 되는데요. , 1일 실업급여 지급액은 퇴직 전 3개월 동안의 1일 평균 금액의 60%입니다.

 

 

 

실업급여 조건

하지만 이는 계산하는 게 은근 복잡해서 실업급여 계산기를 이용하거나, 고용센터 방문을 할 경우 알아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어차피 이변이 없지 않는 이상 금액이 더 적게 나오거나 많이 나오는 일은 드물기 때문입니다.

 

 

 

실업급여 조건

이렇게 실업급여 조건부터 다양한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당장 수입이 끊기는 상황에서 이러한 돈을 받을 수 있다면 꼭 챙겨야 하겠죠. 그러나 일단 조건에 해당돼야 이런 돈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중점적으로 다뤄봤습니다.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조건에 해당된다면 신청하는 것은 문의를 통해서 어렵지 않게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계획을 갖고 퇴직을 하는 게 아니라면 일단은 열심히 다녀야겠죠.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재난지원금 신청방법  (1) 2020.05.10
갤럭시 s20 울트라  (0) 2020.05.10
고용안정지원금 신청  (0) 2020.05.08
세대주 확인방법  (0) 2020.05.07
긴급재난지원금 신청방법  (0) 2020.05.07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