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500만 명이 앓고 있는 질병이 있으니, 바로 당뇨입니다. 당뇨가 무서운 것은 초기에 증상이 없다보니, 당뇨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는 한참이 지나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제때 검사를 통해 관리해 주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사태까지 일어나는 것이죠.
일단 당뇨에 걸리면 완치가 힘들기 때문에 미리 조심해야 하고, 평소에 공복혈당 수치 같은 것만 잘 관리해줘도 예방이 잘 됩니다.
1. 당뇨병
당뇨란 쉽게 말해서 당 수치가 엄청 올라가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혈당수치가 정상적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인슐린 분비가 이상하게 되거나 다른 장기에서 인슐린 저항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결국 당뇨가 오게 돼 있습니다.
주로 당뇨병이 걸리는 이유는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 식단이나 서구화된 식생활 또는 설탕, 사탕 등 당질을 자주 섭취할 경우에도 당뇨가 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만이 되지 않게 잘 관리만 해줘도 70%이상 예방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당뇨에 좋은 음식
당뇨병에 걸리지 않는 게 가장 좋겠지만 만약 걸린 상태라면 당뇨에 좋은 음식을 통해 꾸준히 관리를 해주는 게 좋습니다. 서두에서 말씀드렸듯이 완치가 힘들기 때문에 최대한 잘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1). 여주
첫 번째 당뇨에 좋은 음식은 여주입니다. 여주는 아프리카와 같은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 식물인데요. 여주에는 천연 인슐린이라고 불리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혈당 조절에 탁월합니다.
(2). 비트
두 번째 당뇨에 좋은 음식은 비트입니다. 비트는 여러모로 각광을 받고 있는 음식이기도 한데요. 비트에는 “베타인”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것이 혈당 수치를 낮춰줍니다. 그리고 인슐린이 과하게 분비되는 것도 막아주기 때문에 탁월한 음식중 하나입니다. 게다가 혈액을 깨끗하게 해주는 효능도 있어서 혈관건강에 좋은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두릅
세 번째 당뇨에 좋은 음식은 두릅입니다. 두릅에는 “사포닌”성분이 굉장히 풍부한데요. 그래서 혈당수치가 높을 경우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두릅은 초고추장만 찍어서 먹어도 맛있어서 당뇨가 아니더라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죠.
(4). 연자육
네 번째 당뇨에 좋은 음식은 연자육입니다. 연자육은 연꽃의 씨앗을 뜻하는데요. 이 연자육에는 항산화성분, 폴리페놀 등의 성분이 많습니다. 그리고 당으로 전환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당연히 당뇨 환자에게 좋은 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돼지감자
다섯 번째 당뇨에 좋은 음식은 돼지감자입니다. 돼지감자에는 “이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는데요. 이눌린은 과당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아주어 혈당을 높이지 않고, 인슐린 분비도 촉진시켜 줍니다.
(6). 검은 콩
여섯 번째 당뇨에 좋은 음식은 검은 콩입니다. 검은콩 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혈당이 상승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또한 돼지감자처럼 인슐린 분비도 촉진시켜 줍니다.
(7). 차가버섯
일곱 번째 당뇨에 좋은 음식은 차가버섯입니다. 차가버섯은 암 예방에만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췌장에 도움이 되어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줍니다. 흔히 먹는 버섯은 아니지만 효과만큼은 이미 입증된 좋은 음식이죠.
(8). 양파
여덟 번째 당뇨에 좋은 음식은 양파입니다. 양파에는 알리신 이라는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데요. 알리신은 양파의 매운맛인데, 이 성분이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줍니다. 그래서 혈당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죠.
이렇게 당뇨에 좋은 음식 8가지를 알아보았는데요. 이 외에도 콩나물, 보리 등도 당뇨에 좋은 음식중 하나입니다. 아무리 당뇨에 좋은 음식을 알아도 섭취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으므로 꾸준하게 드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아예 당뇨에 대해 걱정하지 않고 살고 싶다면 체중조절만 잘 하셔도 큰 예방이 됩니다. 대부분의 당뇨는 비만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체중관리만 잘해줘도 최소 당뇨 걱정은 덜 수 있는 것이죠.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메가 3 효능 (0) | 2020.06.05 |
---|---|
코로나 백신 개발 (0) | 2020.06.05 |
실내 공기정화식물 (0) | 2020.06.04 |
아이폰12 출시일 미니 (0) | 2020.06.03 |
카톡 차단 확인방법 (0) | 2020.06.02 |
이 글을 공유하기